본 보고서에선, 상업용 전자 가변 메시지 표시판(CEVMS)의 확대를 반대하는 대표적인 반대론자인 제리 워첼(Jerry Watchel)의 베리디언 그룹(Veridian Group)이 CEVMS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발표한 논문들을 모아 캘리포니아 교통국에 제출한 보고서를 발췌 요약 정리하였다.
워첼의 보고서는 옥외광고가 운전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로 다루고 있지만, 그가 일례로 든 2015년 영(Young) 등의 논문에선 주변 교통 환경이나 주행 상황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때, 운전자들이 스스로 광고 표지판에 대한 주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기도 하였다. 이는 단순히 옥외광고가 운전자의 안전에 수동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보단, 운전자의 운전 수요(driving demand)1) 증가 유무에 따라, 운전자가 능동적으로 옥외광고에 반응한다는 분석 결과는 디지털 옥외광고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1) '운전수요(Driving demand)'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동안에 놓인 인지적, 지각적, 물리적 요구 사항을 의미한다. 이는 운전자가 도로 환경을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다양한 작업, 결정 및 행동을 포함합니다. 운전 수요는 교통 상황을 관찰, 신호를 보내고, 차선 변경, 적절한 속도 유지, 도로 표지 및 신호에 반응, 후방 거울을 확인하고 잠재적인 위험을 예측하는 것과 같은 활동을 포함한다. 운전 수요의 정도는 교통 혼잡도, 도로 조건, 날씨, 도로 네트워크의 복잡성 및 주의 분산 물체의 존재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운전 수요가 많은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전을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주의, 뇌의 정보 처리 및 물리적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운전수요를 이해하는 것은 운전자 행동을 평가하고 도로 상의 광고와 같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촉진하는 도로 환경과 차량 기술을 설계하는 데 중요하다. -편집자 주
○ 배경
이 총서는 본 저자의 2009년 AASHTO(미국 주간 및 교통 관리자 협회) 보고서를 업데이트한 내용이다. 이 보고서는 NCHRP(국립 협동 고속도로 연구 프로그램) 프로젝트 20-7/256을 통해 이루어진 연구 및 그 동안 개발된 지침을 업데이트한 것이며, 이 연구와 지침은 도로변의 상업용 전자 가변 메시지 표시판(CEVMS) 또는 '디지털 빌보드'로 알려진 표지판이 운전자 주의 분산에 미치는 잠재적인 결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또한 이 보고서에서는 지난 10년에 걸쳐 출판되거나 발표된 다양한 연구 논문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문들은 스웨덴, 덴마크, 이스라엘, 캐나다,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등 많은 국가의 학계, 산업 및 정부 연구자들의 작업을 대표하며, 다양한 연구 프로토콜을 따랐다. 2010년 이전의 초기 연구들은 종종 장비, 방법론 또는 통계학적 엄격성의 한계로 인해 결론이 의문과 논란을 남겼으나, 이후 보다 최근에 수행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더 견실하며 서로 유사한 결론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의 연구들에 따르면, 주로 CEVMS와 같은 옥외 광고 표지판이 운전자들의 주의를 끌고 있으며, 더 화려하고 두드러진 광고 표지판이 더 긴 시간 동안 더 자주 운전자의 주의를 받는 경향이 있다고 밝혀졌다. 운전자의 주의는 종종 '상향식' 생리적 과정을 통해 포착되는데, 이 과정에서 운전자는 의도하지 않게 무의식적으로 표지판에 주의를 기울이며, 표지판의 변화하는 이미지, 밝기, 눈에 띄는 정도 및 가끔씩 동영상 또는 순차적 이미지 디스플레이(연속적인 화면 표시를 사용하여 한 가지 사고나 메시지를 전달)로 인해 표지판이 자연스럽게 운전자의 시선을 이끈다.
보고된 연구 중 일부에서는, 숙련된 운전자들은 야외 광고 표지판으로 인한 주의 분산을 견딜 수 있으며, 운전 중의 주의나 인지적 요구가 낮을 때에도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지판들로 인해,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주행 도로, 교통 및 날씨 조건과 경쟁하거나 주행 속도가 높을 때, 또는 예상치 못한 사건이나 조치(선도 차량의 갑작스러운 차선 변경 또는 급브레이킹과 같은)가 발생하고, 운전자가 신속하고 올바르게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 연구들도 있었다.
또한, 더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로변 광고 표지판으로부터의 위험할 정도의 주의 분산에 가장 취약한 운전자는, 주의 분산에 민감하고 긴급 차량 대응에 능숙치 않은 젊은 층과,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야간 시야 및 눈부심에 민감하고, 신경 반응 처리 시간이 느린 노인층이다. 이 총서에서 볼 수 있듯이, 노인 운전자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교통이 점점 혼잡 해지며, 도로 유지 보수나 수리 작업이 많아지고(건설 및 작업 구역은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더 크고 더 밝은 디지털 및 비디오 도로변 광고 표지판들이 운전자의 주의를 끌고 경쟁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또한, 가장 최근의 유행병학적 연구는 오랫동안 의심되었지만 입증되지 않았던 사실을 보여주기 시작했는데, 이 연구를 통해, 도로변 광고 표지판이 위치한 곳에서 사고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인용된 연구들이 다양한 접근 방식과 방법론을 활용하면서도 명백하고 공통적인 주제는, CEVMS가 운전자의 주의를 끌면서 광고 표지판 소유주와 광고주에게 가치 있는 투자가 되는 만큼, 표지판들이 가장 복잡한 거리와 고속도로에서 안전에 대한 위협을 대표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미국의 옥외 광고 산업이 도로변 광고 표지판의 주목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교통 안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 문서에 인용된 연구 중 소수의 연구는 CEVMS와 교통 안전과의 관계를 거의 찾지 못했거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하나는 오랫동안 기대되던 연구로, 2014년 12월 30일 미 연방 고속도로 행정국(FHWA) 웹사이트에 발표되었다. 저자 는 미 연방 고속도로 행정국의 연구가 동료 평가에서 잘못된 방법과 분석으로 심각한 오류가 있다고 비판한 적이 있다. 이 연구는 기관 웹사이트에서 여전히 이용 가능하지만, 공식적으로 발표된 적은 없다. 옥외 광고 산업 자체에 의해 발표된 연구에도 불구하고, CEVMS의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연구들은 그와 반대인 연구들보다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
2) 2007년, 옥외 광고 산업 협회 (Outdoor Advertising Association of America [OAAA])와 그 연구 기관인 옥외 광고 연구 및 교육 재단 (Foundation for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and Education [FOARE])이 후원한 두 연구가 국립학교 교통연구 위원회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의 피어 리뷰 과정을 통해 제출되었다. 버지니아 테크 교통연구소 (Virginia Tech Transportation Institute, VTTI)에서 수행한 인간 요인 연구와 Tantala가 수행한 역학적 연구의 두 보고서 모두 피어 리뷰어로부터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따라서 TRB이 발표와 출판을 거부했다. 버지니아 테크 대학은 이후 이 분야에서 추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으나, Tantala는 OAAA/FOARE의 후원으로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러나 FOARE와 OAAA는 어떠한 이유로 인해 이후의 연구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연구는 이 보고서에서 다루지 못했다.
도로 환경이 주행과 관련 없는 요인들(시각적 복잡성으로 종종 불리는)로 혼잡해지면 운전자는 안전 운전을 위해 도로 상에서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때 추출하는 것이 어려워지며, 이는 특히 노인 운전자에게 문제가 된다. 게다가, 점점 발전하는 과학기술로 인해 CEVMS가 더 두드러지게 하며, 이러한 첨단 기술을 사용하는 온프레미스 표지판이 확장되고, 그리고 일부 주 정부가 이러한 표지판의 도로 우선권 내 사용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최근 연구와 지침들에 대한 최신 검토를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게 되었다.
이 보고서의 다음 섹션은 인용된 각 연구의 간단한 요약과 참고 문헌 목록으로 마무리된다.
○ 연구결과 요약
여기서는 본 총서에서 논의된 22개의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는데, 중요한 결론은 굵게 강조되어 있다. 여기에 나열된 연구 논문들은 일반적으로 연대 순으로 인용되었다.
○ 챈 등(Chan, et al.), 2008 – 미국, 매사추세츠 앰허스트
이 논문의 연구자들은 초보 청소년 운전자와 숙련 운전자 모두에게 차량 내부(예: 핸드폰으로 전화걸기와 지도 읽기)와 차량 외부(예: 옥외 전광판)로부터의 주의 분산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예상대로, 차량 내부의 주의 분산 요인에 대해서는 청소년 운전자들이 경험있는 운전자들보다 도로에서 시선을 돌린 시간이(2초 이상) 두 배 이상 더 길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a) 외부 주의 분산 요인이 차량 내부의 주의 분산 요인보다 더 주의 분산을 유발하였고, (b) 경험있는 운전자들도 차량 외부 작업을 수행할 때 이 핵심적인 주의 분산 측정에서 초보 면허 운전자들만큼 주의를 분산시켰다. 연구자들은 경험 있는 운전자들이 차량 외부 주의 분산 요인과 차량 내부 주의 분산 요인에 동일한 주의를 기울일 것으로 예상했었다. 대신 '경험 있는 운전자들은 도로 변으로 시선을 옮기는 것이 전방에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들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는 크게 우려하지 않았다.'노인 운전자들은 전방 도로에서 2초 이상 81%의 차량 외부 작업에 시선을 옮겼다. 연구자들은 '우리의 운전자들이 차량 외부 탐색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실제로 주의가 분산되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결론 내렸다.
○ 영 등Young, et al., 2009 - 영국
이 운전 시뮬레이터 연구에서, 연구 참가자들은 주변 도로 표지판의 존재와 부재 상태에서 시골, 도시 및 고속도로의 정해진 경로를 운전하며 운전 성능을 측정하였다. 도로 표지판은 측면 제어(lateral control)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사고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종방향 제어 (longitudinal control)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장 놀라운 효과는 운전자 주의에 있었다. 운전자의 정신적 작업 부담3) (driver mental workload: NASA에서 개발한 TLX4) 척도를 사용)은 도로 표지판이 존재할 때 크게 증가하였다. 시골 도로와 고속도로에서의 연구 결과는 옥외광고판이 도로에서 더 중요한 도로 표지판 대신에 의식적으로 더 주시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저자들은 광고가 운전 성능과 운전자 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신뢰할 만한 결론을 도출해냈다. 옥외광고판의 허가를 승인할 때 종종 지방 단위에서 이해 관계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시의회가 종종 도로변 광고 수익의 일부를 지원받는 경우가 많음), 이러한 데이터는 도로 안전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균형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야 하며 그렇게 해야 합니다.'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3) 운전자의 정신적 작업 부담은 운전 중에 운전자가 처리하고 있는 정보나 작업량에 따른 정신적인 노력이나 부담을 나타낸다. 이는 운전자가 도로 환경을 주의 깊게 감시하고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인지 및 인지 능력에 대한 부분을 나타낸다. 운전 중에는 도로 상황, 교통 상황, 표지판 및 신호, 주변 차량 등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고 결정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적인 부담은 운전 성능 및 도로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편집자 주.
4) TLX (Task Load Index) 척도는 다양한 작업 수행과 연관된 지각적 작업량 또는 정신적 노력을 평가하기 위한 폭넓게 사용되는 주관적 평가 도구이다. 이 도구는 1980년대에 미국 국립항공우주국(NASA)에서 항공 및 우주 연구의 맥락에서 작업의 인지적, 물리적 및 시간적 요구 사항을 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TLX 척도는 다양한 작업의 트레이드오프와 요구 사항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개인들이 작업의 다른 측면을 평가하도록 하는 구조화된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TLX 척도는 정신적 요구, 물리적 요구, 시간적 요구, 성과, 노력 및 좌절과 같은 다양한 작업량 차원을 평가하는 몇 가지 하위 척도로 구성된다. 참여자들은 각 차원을 0부터 100까지의 척도로 평가하게 되며, 높은 값은 높은 지각적 작업량을 나타낸다. 각 차원의 평가 점수는 전체 작업량 점수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된다.
TLX 척도는 인지적 요구 사항을 평가하고 작업 성능을 최적화하며 인지적 과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작업, 환경 및 개입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요소, 심리학, 공학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채택되었다. 이 도구는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다양한 요인이 어떻게 인지적 요구 사항에 영향을 미치며 작업과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 베커 그뢴덜과 새그버그(Backer-Grøndahl, & Sagberg), 2009 – 노르웨이
저자들은 사실 사고에 관여한 운전자들에게 사고의 원인으로 생각하는 것들이 무엇이었는 지를 제시한 원인 목록에서 식별하도록 요청하였다. (휴대폰 사용은 제외되었다). 가장 자주 보고된 주의 분산 요인은 (1) 동승자와의 대화 및 (2) 뒷 좌석의 어린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었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준 간접 노출(quasi-induced exposure)라고 알려진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면, '가장 높은 상대적 위험'을 가진 주의 분산 요인은 (1) 차량 외부의 광고 표지판 및 (2) 주소를 찾는 것이었다. 저자들은 두 가장 높은 위험의 주의 분산 요인 모두 시각적 주의 분산 요인이며, 다른 신체적, 청각적 또는 인지적 요인이 아님을 언급한다.
○ 채팅턴 등(Chattington, et al.), 2009 - 영국
연구자들은 정적 광고 및 비디오 광고 표지판이 존재할 때 '운전자의 시각적 행동과 운전 성능 양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발견했다. 예상한 대로 비디오 광고 표지판은 비슷한 위치에 있는 정적 표지판보다 더 강한 주의 분산 요인으로 여겨졌다. 저자들은 이들 결과가 '광고에 의한 운전자 주의 분산의 다른 연구들을 지지하고 확장한다'고 말하며, 크룬덜(Crundall) 등의 연구와 영(Young) 및 매포드(Mahfoud)의 연구를 인용하고 있다(두 연구 모두 워첼(Wachtel)의 2009년 AASHTO 보고서에서 상세히 검토되었다). 이 연구는 비디오와 정적 광고 표지판 모두가 운전 성능의 여러 측면에 불리한 영향을 미쳤으며, 비디오 표지판이 일반적으로 정적 표지판보다 더 많은 손해를 주었고, 이러한 영향이 속도 조절, 브레이킹 및 차선 유지에 나타났다고 주장하였다.
○ 호베리 등(Horberry, et al.), 2009 - 호주
도로 관리 기관이 불완전하더라도 가용한 연구 정보를 활용하여, 공학적인 판단과 결합하여 광고 표지판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수 있다. 저자들은 그들의 클라이언트인 호주 퀸즈랜드 주에서 운전자 작업 부담이 크다고 널리 알려진 지역에서 광고를 제한할 것을 권장했다. 이 지역에는 '사고율이 높은 지역, 차선 병목, 곡선도로, 언덕 및 도로/공사/비정상적인 교통 흐름이 있는 곳'이 포함된다. (저자들은) '이것은 워첼(Wachtel)의 권고와 상당히 일치하는데, 그는 운전자의 의사 결정, 동작 지점 및 인지적 요구가 가장 많이 요구되는 시간대에, 예를 들어, 고속도로 출입구, 차선 축소, 병목 및 커브와 같은 곳에 광고를 제한하도록 권장하였다. 이 규제는 모든 도로 사용자에게 유용한데, 특히 노인 운전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 벤닥 과 알 살레 (Bendak & Al-Saleh), 2010 - 사우디아라비아
연구 저자들은 운전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실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광고 표지판이 있는 도로와 광고 표지판이 없는 유사한 도로에서 운전하도록 하였다. 이 실험에는 23-28세의 12명의 남성 자원 봉사자가 연구에 참여했다. 또한, 리야드 시내에서 무작위로 남성 운전자들에게 배포된 간단한 설문지를 통해 광고 표지판에 대한 운전자 의견을 조사하였고, 160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시뮬레이터 연구 결과는 실험 참가자들의 운전 속도가 광고 표지판의 존재에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였다. 그러나 다섯 가지 지표 중 두 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는데, '차선을 불필요하게 벗어남'과 '위험한 교차로를 무분별하게 횡단함' 모두 광고 표지판이 있는 상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더 흔하게 발생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세 가지 측정값인 꼬리 물기, 과속 및 신호 미사용 역시 광고 표지판이 있는 상황에서 모두 더 나빴다. 설문 조사에 응답한 응답자의 절반은 광고 표지판으로 인해 주의가 분산된 경험이 있다고 밝혔으며, 22%는 광고 표지판으로 인한 주의 분산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에 처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 밀로이와 캐어드(Milloy & Caird), 2011 - 캐나다
이 연구는 동영상 광고판과 풍력 터빈이 운전 주의 분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운전 시뮬레이터 연구였다. 결과는 동영상 광고 표지판의 존재와 전방 차량과의 충돌 및 대응 지연과의 인과 관계를 입증하였다.
○ 에드퀴스트 등(Edquist, et al.), 2011 - 호주
'광고 표지판의 존재가 상황 변화를 감지하는 시간을 늘린다는 발견은 중요한 결과이다.' 광고 표지판은 운전자들이 다른 작업에 참여하고 있을 때 자동으로 주의를 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환경 요인들에 대한 응답이 지연될 수 있다. 이미 시각적 혼잡도가 높아서 응답 시간이 이미 길어진 상황에서 광고 표지판의 영향이 더욱 커졌다. 특히, 시각적 혼잡도가 높은 도로가 광고 표지판이 가장 자주 설치되는 복잡한 상업 지역으로 교통량이 많은 환경일 경우 더욱 우려된다.'
실험 결과는 광고 표지판이 시각적 탐색 및 위험 감지와 같은 운전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과 일치하며, 따라서 광고 표지판은 더 정확하게 규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에드퀴스트 등(Edquist, et al.), 2011 – 호주 시드니
이 저자들은 전방 180도 시야를 가진 모션 운전 시뮬레이터를 사용했다. 그들은 단순화된 광고 표지판이 있을 때와 없을 때에 노인, 초보 및 중간 연령대 운전자들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변경하라는 도로 표지판에 대한 차선 변경 반응을 연구하였다. 전반적으로, 운전자들은 광고 표지판이 없는 지점보다 광고 표지판이 있는 지점에서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노인 및 초보 운전자들은 중년의 운전자들보다 더 큰 영향을 보였다. 초보 운전자와 노인 운전자 모두에게 정적 광고 표지판 및 변경 가능한 광고 표지판이 도로 전방에 대한 주목 시간을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예상대로, 광고 표지판의 존재는 도로 전방의 시선 이동을 방해하고 도로 표지판에 대한 응답을 지연시켰다. 광고 표지판의 존재함으로 운전자들이 시각적 주의 패턴을 변경, 도로 표지판에 대한 응답 시간을 증가시키고, 운전 작업에서의 오류 수를 증가시켰다.
○ 두킥 등(Dukic, et al.), 2012 - 스웨덴
도로 상에서 계측된 차량을 이용한 연구에서, 운전자들은 디지털 광고 표지판을 지날 때 다른 표지판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긴 주시 시간(표지판을 보는 시간), 더 많은 고정점 개수 및 더 긴 최대 고정 지속 기간을 보였다.
페레즈 등(Perez, et al.), 2012 – 미국 워싱턴 DC
이 연구는 미 연방 고속도로 행정국 (FHWA)에서 후원한 연구로서, 자원 봉사자 운전자들이 계측 차량을 이용, 펜실베니아 주 레딩과 버지니아 주 리치먼드에서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라 운전하면서 시선을 기록하였다. 이 경로에는 디지털 및 정적 광고 표지판, 정의되지 않은 온프레미스 표지판 및 상업 표지판이 없는 지역이 포함되었다. 이 경로는 주간 및 야간에 운전되었으며,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광고 표지판은 '도로에서 너무 오랜 시간 주시를 떠나는 것과의 상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대로 이 연구의 초안 보고서는 기관이 선택한 동료 심사자들에 의해 강력하게 비판되었는데, 특히 획득한 눈으로 향하는 시선 데이터의 유효성에 관련하여 비판을 받았다. 실제로 연구 참가자들은 디지털 광고 표지판에 대해 다른 표지판보다 더 자주 시선을 돌렸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배 이상 많이 시선을 돌렸다. (예: 리치먼드 시의 밤에 71% 대 29%). 비판적인 동료 심사때문에, 저자들은 연구를 개정하는 데 33개월이 걸렸으며, 2012년 9월에 날짜가 붙여졌지만 2013년 12월 30일에서야 기관의 웹사이트에 공개되었다. 이 수정 보고서는 이 연구의 본인에 의해 검토되었으며, 독립적인 14명의 전문 동료 심사자들이 검토하였다. 우리가 아는 바에 따르면, 수정된 FHWA 보고서는 기관에서 공식적인 심사를 받지 않은 채 기관 웹사이트에 발행된 바 있으며, 공식적인 기관 보고서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출판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 디베카 등(Divekar, et al.), 2013 – 미국, 매사추세츠 앰허스트
숙련된 운전자들은 차량 내 작업 (예: 휴대전화, 지도 표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대해 초보 운전자보다 훨씬 적게 주의가 분산된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숙련된 운전자와 초보 운전자 모두 차량 외부의 옥외 광고판을 보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행동을 할 때, 사고를 낼 위험과 동일하거나 더 높은 위험에 처한다는 사실에 놀라게 되었다.
○ 로버츠 등(Roberts, et al.), 2013 – 호주
움직임이 나타나거나, 빛의 밝기 변화가 무의식적으로 운전자의 주의를 끌 수 있으며, 시선을 자극하는 정보는 주행 성능을 해치는 방향으로 주의를 끌 수 있는데, 특히 미숙한 운전자들의 경우에 운전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이 또한 많은 인지 능력이 요구되는 운전 상황에서 발생하면 운전 성능에 대한 결과는 상당히 중요할 것이다. 더구나, 운전자의 시선이 2초 이상 전방 도로에서 벗어나는 상황이라면, 이는 안전을 더욱 감소하게 할 것이다. 추가로, 운전과는 상관없는 요인들로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는 특히 노인 운전자들은 안전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도로변 광고가 주의를 분산시키고 차량 조종 능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 헤르스테트 등(Herrstedt, et al.), 2013 - 덴마크
연구 논문 저자들은 눈 추적 시스템이 장착된 계측 차량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을 연구했다. 계측 차량에는 차량의 속도를 등록하기 위한 GPS 시스템과 도로의 다른 사용자와의 추종 거리 측정을 위한 레이저 스캐너가 장착되어 있었다. 연구의 전반적인 결과는 '광고 표지판이 도로 안전을 저해할 정도로 운전자의 주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모든 광고 표지판을 지나는 주행 중 69%에서 운전자가 적어도 한 번은 표지판을 주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 절반의 주행에서 운전자는 동일한 표지판을 두 번 이상 주시했다. 모든 주행 중 22%에서 연속된 주시 지속 시간이 2초 이상이었다. 모든 주행 중 18%에서 1초 이상의 주시 지속 시간이 기록되었다. 모든 주시 중 약 25%에서 앞 차량과의 안전 거리가 2초 미만이었고, 주시 중 20%에서 안전 거리가 1.5초 미만이었다. 이 연구는 독립적인 동료 심사에서 리처드 페인 (Richard Pain) 박사의 극찬을 받았다. 페인 박사는 이 연구를 이 분야에서 최고로 설계된 연구로 판단하며, 위에서 논의한 것과 비교하여, FHWA 연구의 결론보다 훨씬 더 유효하고 견고하다고 여기고 있다.
○ 호킨스 등(Hawkins, et al.), 2014 – 미국 텍사스 컬리지 스테이션
이 연구는 온프레미스 표지판 업계에서 후원한 연구로서, 2006-07년에 처음 설치된 온프레미스 디지털 표지판 주변의 사고 발생률을 통계학적(유행병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온프레미스 표지판은 광고 표지판과 여러 측면에서 다르다. 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대로, 온프레미스 표지판은 해당 표지판이 위치한 지역에서 제공되는 비즈니스 또는 서비스만을 광고해야 한다. 그런 이유로 온프레미스 표지판은 일반적으로 비즈니스를 식별하고, 따라서 그러한 식별에 필요한 것 이외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반면에, 이들은 종종 광고 표지판보다 도로에 더 가깝게 설치되며, 종종 광고 표지판보다 크게 설치되어 모션이나 모션의 외형을 갖출 수 있다. 이 연구는 경험 베이지 (Empirical Bayes, EB)5)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4개 주에서 교통사고의 전 후를 분석하였다. 총 135개의 표지판 위치와 1,301개의 통제 위치가 사용되었으며, 연구자들은 '이러한 위치에 온프레미스 표지판을 설치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사고 발생 횟수가 증가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5) 'Empirical Bayes'는 개별 데이터와 그룹 수준 데이터의 정보를 결합하여 보다 정확한 추정이나 예측을 수행하는 통계적 접근 방법이다. 이는 통계, 경제학 및 기계 학습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매개변수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 편집자 주
○ 쉬버 등(Schieber, et al.), 2014 – 미국 사우스다코타 버밀리언
이 시뮬레이터 연구에서 저자들은 디지털 광고 표지판의 메시지 길이를4개, 8개 또는 12개 단어로 바꿔가며, 실험 참가자들로 하여금 시속 25 또는 50마일 속도로 주행하면서 이들 디지털 광고판을 지나가도록 하였다. 직선 도로의 낮은 속도에서는 차선을 유지하거나 표지판 읽는 능력이 줄어들진 않았지만, '시속 50마일의 고속 주행 속도에선 주행 성능 저하의 명백한 증거가 나타났다.' 분석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긴 메시지의 표지판을 읽으면서 차선을 왔다갔다하지 않고, 차선 중앙에서 천천히 벗어나, 표지판을 지나간 후 약 8초 후에 큰 폭으로 조향을 수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시선의 주시 분석 결과, 8개 단어 메시지가 있을 때, 정보 처리 과부하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12개 단어 메시지에서는 시속 50마일로 주행하는 조건에서 정보 처리 과부하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 영 등(Young, et al.), 2015 – 호주 시드니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각각의 실험 참가자들로 하여금 정적 광고 표지판이 포함된 미리 지정된 경로를 따라 계측된 차량을 운전하도록 하였다. 이 경로에는 표지판이 없는 유사한 도로 일부분도 포함시켜 서로 비교하였다. 실험에는 차량 속도, 종방향 및 횡방향 운전 제어의 측정값이 기록되었다. 연구자들은 미국의 코멘터리 운전 기법6) 과 유사한 기술인 'Verbal Protocol Analysis (VPA)7) '라는 방법을 사용했다. 2개의 광고 표지판이 있는 구간과 표지판이 없는 2개의 유사한 도로 일부를 비교 연구한 결과, 광고 표지판이 운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보단, 운전 수요8)가 광고 표지판에 주의를 기울이는지, 그리고, 얼마나 주의를 기울이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이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운전자들은 주행 요구가 낮을 때 광고 표지판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운전 수요가 증가하면 운전자들은 광고 표지판에 덜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을 보였으며, 운전자들은 주변 교통 또는 주행 상황에 집중해야 할 때 스스로 광고 표지판에 대한 주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6) 코멘터리 드라이빙은 운전 훈련 및 평가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자신의 행동, 관찰 및 결정을 말로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운전자는 도로를 운전하면서 자신의 생각, 반응 및 교통 환경에 대한 인식을 설명하며 '대화식 운전'을 수행한다. 이 기술은 운전자의 상황 인식 수준, 위험 인식 능력, 의사 결정 기술 및 전반적인 운전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종종 사용되고 있다.
코멘터리 드라이빙을 통해 운전자는 운전 중 자신의 생각을 목소리로 표현함으로써 도로 위에서의 자신의 행동, 반응 및 교통 환경에 대한 인식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은 운전자가 주변 환경, 잠재적인 위험 상황 및 실시간으로 내리는 결정에 대해 더 잘 인식하도록 돕는다. 특히 초보 운전자에게는 안전한 운전 습관과 비판적 사고 기술을 육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운전 교육자나 평가자는 운전자의 사고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개선할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 편집자 주
7) '언어 프로토콜 분석' (VPA)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개인들의 언어적 설명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인지 과정과 의사 결정을 연구하는 연구 기법이다. 이 기법은 참여자들에게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말하며 생각'하도록 요청하여 연구자가 작업 수행에 관여하는 사고 과정, 전략 및 정신적 단계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8) '운전수요(Driving demand)'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동안에 놓인 인지적, 지각적, 물리적 요구 사항을 의미한다. 이는 운전자가 도로 환경을 안전하게 이동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다양한 작업, 결정 및 행동을 포함합니다. 운전 수요는 교통 상황을 관찰, 신호를 보내고, 차선 변경, 적절한 속도 유지, 도로 표지 및 신호에 반응, 후방 거울을 확인하고 잠재적인 위험을 예측하는 것과 같은 활동을 포함한다.
운전 수요의 정도는 교통 혼잡도, 도로 조건, 날씨, 도로 네트워크의 복잡성 및 주의 분산 물체의 존재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운전 수요가 많은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전을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주의, 뇌의 정보 처리 및 물리적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운전 수요를 이해하는 것은 운전자 행동을 평가하고 도로 상의 광고와 같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촉진하는 도로 환경과 차량 기술을 설계하는 데 중요하다. -편집자 주
○ 시시오피쿠 등(Sisiopiku, et al.), 2015 – 미국 앨라바마, 플로리다
저자들은 앨라바마 주의 8개 디지털 광고 표지판 위치와 플로리다 주의 10개의 디지털 광고 표지판 주변에서의 사고를 분석하였다. 모든 위치는 진입이 제한된 고속도로에 위치하였다. 플로리다 주에서는 377건, 앨라바마 주에서는 77건의 사고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초기에 검토한 사고 요약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수의 코드 오류를 발견한 저자들은 실제 교통 충돌 사고 보고서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셋이 너무 작아 통계 분석을 사용할 수 없었지만, 저자들은 '디지털 광고 표지판이, 디지털 광고 표지판 제한 지역과 비교해볼 때, 디지털 광고 표지판이 영향을 주는 지역 내에서 전반적인 교통 사고율을 증가시켰다. 플로리다 주에서는 25%, 앨라바마 주에서는 29%의 증가'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광고 표지판이 위치한 곳에서의 흔한 사고 유형은 후미 충돌과 측면 충돌로, 둘 다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유형이다.
○ 렘펠 등(Rempel, et al.), 2015 - 캐나다
캐나다 교통 협회를 대표하여 작업한 이 저자들은 디지털 및 프로젝션 광고 표지판의 규제를 위한 일련의 지침들을 개발하였다. 이 지침들은 포괄적인 문헌 검토, 캐나다 정부 관할 지역 조사, 기존의 표지판 규정 검토, 국제 정부 기관과의 인터뷰, 표지판 산업 대표와의 논의, 인간 요인과 교통 공학 원칙의 적용 등을 기반으로 얻어진 것이다. 이들 지침에서 문서화된 주요 원칙은 '디지털 광고 표지판이 정적 광고 표지판과 유사하도록 디지털 광고 표지판을 규제할 수 있는 권장 사항을 제시하고, 그 결과 정적 광고와 비슷한 주의 분산과 도로 안전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샘사와 필립스(Samsa & Phillips), 2015 - 호주
호주 옥외 매체 협회를 대표하여 이 저자들은 계측된 차량에서 25세에서 54세까지의 29명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연구 작업을 수행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시선 추적 안경'을 착용하고 그들의 시선 고정 및 운전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들이 퀸즈랜드 주 브리즈번에서 14.6km의 지정된 경로를 운전하는 동안 진행되었다. 이들로 하여금 정적 표지판, 디지털 표지판 및 온프레미스 표지판을 포함한 '여러 개'의 광고 표지판을 지나게 하였다. 결과는 시선 고정 기간이 '0.75초 미만'으로 매우 짧았으며, 세 가지 유형의 표지판 간에 차량 주행 거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견 중 하나는 표지판이 존재할 때 측면 편차가 더 나빠진다는 것이다.
○ 윌슨과 캐스퍼(Wilson & Casper), 2016 – 미국
이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 부분에서는 편의 표본9)으로 선택된 운전자 그룹들에게 운전자의 시각으로 본 비디오 클립이 제공되었으며, 이 비디오는 표지판이 포함된 설정에서 운전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들의 시선 방향은 바닥에 고정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광고 사업을 확장하려면, 산업계는 광고가 실제로 목격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더 정교한 측정 방법이 필요했다.' 초기 광고 목격 결과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며, 모든 가설을 입증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시각 주의 이론10) 모델이 광고 표지판에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사고실험을 통해 광고 표지판이 시각적 특징과, 크기, 위치, '주시 시간', 도로의 한쪽, 운전자 시야 내 위치와 같은 물리적 특성과 관련된 요인으로 인해 운전자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지를 결정하려고 했다. 여기에서도 다시 모든 가설이 입증되었다. 본 저자들의 주요 결론 중 하나는 '광고 표지판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그것들이 다른 차량, 보행자, 신호등 및 방향 표지가 있는 곳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인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었다...'
9) '편의 표본'은 연구에서 사용되는 비확률 표본 추출 방법으로, 연구에 포함되는 개인 또는 요소들이 연구자의 이용 가능성과 접근 용이성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샘플링 방법은 종종 대상 인구에서 실제로 무작위 또는 대표적인 표본을 얻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실용적인 이유로 사용된다.편의 표본에서는 참가자가 연구자에게 편리하게 접근 가능하거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이유로 선택된다. 이는 근처에 있는 사람들, 쉽게 접근 가능한 사람들 또는 복잡한 모집 방법 없이 참가하려는 사람들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편리하지만 이러한 샘플링 방법은 표본이 더 큰 대상 인구를 정확하게 대표하지 못할 수 있는 편향성을 연구 결과에 도입할 수 있다.
10) 시각 주의 (Visual Attention)는 환경에서 중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인지 과정을 매개하는 것이다. 이 선택은 일반적으로 하향식과 상향식 주의 편향에 의해 제어된다. 대다수의 인간에게 시각이 우세한 감각이기 때문에 시각 주의는 고차 인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관련 결함은 많은 신경 정신 질환과 신경학적 장애의 핵심 증상이다. Denise Elfriede Liesa Lockhofen & Christoph Mulert, Neurochemistry of Visual Attention, Center for Psychiatry and Psychotherapy, Justus-Liebig University, Hessen, Germany, 2021
○ 벨리우사 등(Belyusar, et al.), 2016 – 미국 매사츄세츠 주 캠브리지
도로 위에서 실시된 이 연구에서는, 남성(63명)과 여성(60명), 그리고 젊은이(20-29세, 63명)와 노인(60-69세, 60명)로 성별, 연령별로 거의 균등하게 분포된 총 123명의 실험 참가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실험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은 운전 중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은 정상적인 운전 상황에서 계측 차량을 이용해, 양 방향으로 네 개 차선의 주행 차로가 있는 도로를 제한 속도 시속 65마일로 디지털 광고 표지판을 지나가도록 하였다. 데이터는 출퇴근 시간대 교통을 피하기 위해 오전 늦은 시간과 오후 초기에 수집되었다. 본 저자들은 '최근 FHWA 보고서와는 대조적으로(Perez 등, 2012), 결과는 시선의 총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드러났으며, 진행 방향에 따라 광고 표지판 방향으로 중장기 시간의 시선의 변화가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노인 운전자들이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저자들은 '운전자들이 정적인 광고 표지판이 보이는 도로 구간과 비교할 때, 광고가 새롭게 전환되는 순간에 더 많이 시선을 돌렸다. '라는 결론을 내렸다. 전형적인 광고 표지판에 시선이 6초 또는 8초 머무른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결과는 이러한 표지판에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이 상당히 길 것이라는 주장을 보태는 것이다.
○ 헤르스테트 등(Herrstedt, et al.), 2017 - 덴마크
이 연구에서는 16명의 참가자가 계측 차량을 이용해서 주간과 어두운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두 개의 실험 경로를 주행하도록 하였다. 눈 추적 장비를 활용해, 도로 위 또는 도로 밖(차량 외부) 소스에 대한 시선을 추적, 기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LED 광고판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전에 네 가지 연구 과제 질문이 있었는데, (1) LED 광고판이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를 어느 정도로 분산시키는가? (2) 운전자의 LED 광고판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도로 안전에 영향을 미쳐서 유지되는가? (3) LED 광고판으로부터의 주의 분산은 다른 유형의 주의 분산과 어떻게 비교되는가? 그리고 (4) 주간과 어두운 환경에서의 LED 광고판으로부터의 주의 분산의 차이는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결론은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가 LED 광고판에 의해 분산되었다는 것이다. 매번 10번째 주행 이상에서 시각적 분산이 발생했는데, 예를 들어, 운전자가 LED 광고를 보는 동안 6초 내에 2초 이상의 누적 시선이 발생하였다. 주행 중 4%에서 시각적 분산이 '안전 버퍼'(safety buffer)가 0초 미만인 상황에서 발생했다. 안전 버퍼는 사고를 피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급작스러운 위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시간을 나타낸다.'
○ 몰루(Mollu), 2018 – 벨기에
2015년 유럽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산만한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모든 유럽의 도로 교통 사고의 10~30%를 차지한다. 주의 분산의 일관된 정의는 없지만, 대부분의 정의에서는 주행 활동에서 주의를 다른 주행 이외의 활동으로 돌리는 것으로 설명하며, 차량 내부와 외부에서 상충하는 활동으로 주의가 분산될 수 있다. 이 주의 분산은 시각적 및/또는 인지적일 수 있다. 저자와 그의 동료들은 도로 이용자의 시선 행동이 광고 표지판에 영향을 받는지, 이러한 표지판이 운전 행동에 변화를 초래하는지, 그리고 결과적으로 도로 안전에 주목할 만한 영향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35명의 실험 대상자 (20세에서 69세; 남성 54%)가 사전 교육을 완료하고, 3초, 6초 및 15초의 주기로 LED 광고판을 지나가는 시뮬레이터를 운전하도록 하였으며, 보행자 횡단보도로부터 41m 및 65m의 거리에서 주행하도록 하였다. 표지판은 상업 지역과 교통량이 많아지는 지역으로 전환되는 곳에 위치되었다. 표지판의 모든 다른 특성들, 크기, 배치, 조명 등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메시지 표시 시간이 가장 짧고, 보행자 횡단보도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표지판이 유의하게 높은 정신적 부하와 낮은 운전 성능을 보였다. 메시지 표시 시간이 길수록 표지에 대한 시선이 줄어들었다. 표지판은 보행자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속도를 높이고, 횡단보도에 접근하면서 감속이 지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표지판의 존재 여부에서 측면 위치 변화와 같은 경로 변경의 증가 흔적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오비에도-트레스팔라치오스 등(Oviedo-Trespalacios, et al.), 2019 – 호주 퀸즈랜드 주
이 보고서에서는 여기서 선택된 관련 문헌을 비판적인 검토한 것임을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비판적인 내용이 보이지는 않는다. 검토를 위해 선택된 문서는 작업-능력 인터페이스(TCI: Task-Capability Interface)11) 라는 모델을 사용하여 식별되었으며, 이 모델은 운전자의 능력과 과제 수행 요구 사이를 비교하고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결론을 도출한다.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몇 가지 일반적인 결론이 도출되는데, 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도로변 광고 표지판은 환경적 잡음으로, 운전 중 추가적인 과제를 요구하고 있다. 도로변 광고 표지판은 운전자의 시선 움직임 패턴을 저하시킨다. 젊은 운전자는 관련성 있는 정보와 관련 없는 정보를 구별하는 능력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옥외 광고와 교통 사고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결론짓기는 어렵지만, 문헌에서는 도로변 광고가 사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추세가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광고판과 같은 변화하는 표시물이 있는 경우에 그러하다.
11) '작업-능력 인터페이스' (TCI)는 작업의 요구 사항과 개인의 인지 또는 신체 능력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나 임계값을 나타낸다. 이 개념은 종종 인간 요인 및 인체공학의 맥락에서 사용되며, 작업의 요구 사항과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개인의 능력 사이의 호환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편집자 주
○ 기틀먼 등(Gitelman, et al.), 2019 - 이스라엘
이 연구는 도로변 광고판이 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외곽 지역의 속도 제한이 있는 고속도로의 두 교차로를 대상으로 세 가지 시간대에 걸쳐 수행되었다. 첫 번째 시간 대는 광고판이 운전자에게 보이는 동안 발생한 것이었다 (기간 1). 이후 이스라엘 의회가 연구 기간을 정하면서 모든 광고판이 덮어지거나 제거되었다. 이것이 두 번째 기간이었다.(기간 2). 마지막으로 연구 기간이 종료되고 광고판이 다시 운전자에게 보이게 되었다. 이것이 세 번째 기간이었다 (기간 3). 결과는 두번 째 기간에서 광고판이 제거됨(덮힘 포함)에 따라 사고 수가 첫번 째 기간에 광고판이 여전히 보이던 때에 비해 체계적인 하향 추세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재산상의 손해와 부상 사고 모두에 해당하였다. 광고판이 세번 째 기간에 복원되면서 결과는 두번 째 기간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고의 일관된 상향 추세와 사고 유형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 코스타 등(Costa, et al.), 2019 - 이탈리아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광고판, 온프레미스 표지판, 기름 가격 디지털 표지판 등 6가지 형대의 표지판에 대한 응답, 고정율과 지속시간을 조사했다. 15명의 실험 참가자들로 하여금 시선 추적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을 운전하도록 하였다. 표지판의 글자가 클수록 시선 고정율도 높아졌으며, 도로 가까운 쪽에 있는 표지판도 높은 시선 고정율과 관련이 있었다. 글자 크기가 작고, 글자가 많은 표지판은 낮은 시선 고정율을 보였는데, 이는 '이동 중에 표지판의 낮은 가독성 때문에 운전자의 시각적 관심을 끌어들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하였다. 시선 고정 지속시간은 광고판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도로 가까이 있는 표지의 경우 더 긴 지속시간을 보인 것은 이전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표지판이 고정되는 거리는 속도, 표지 크기, 텍스트 길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운전자가 즉각적인 반응을 요하는 상황에서 심각한 교통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긴' 시선 고정이 상당한 양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도로변 광고에 의한 주의 산만이 교통 안전에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한 사례가 있다고 결론 짓을 수 있다.'
참고문헌:
Backer-Grøndahl, A., & Sagberg, F. (2009). “Relative crash involvement risk associated with different sources of driver distraction.” Presented a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river Distraction and Inattention. Gothenburg, Sweden: Chalmers University.
Belyusar, D., Reimer, B., Mehler, B., & Coughlin, JF. (2016). “A field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billboards on glance behavior during highway driving.”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88, 88-96.
Bendak, S., & Al-Saleh, K. (2010). “The role of advertising signs in distracting dri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0, 233-236.
Chan, E., Pradhan, AK, Knodler, MA, Jr., Pollatsek, A. & Fisher, DL. (2008). “Empirical Evaluation on a Driving Simulator of the Effect of Distractions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on Drivers’ Eye Behaviors,” Washington, DC: 87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Chattington, M., Reed, N., Basacik, D., Flint, A., & Parkes, A. (2009). “Investigating Driver Distraction: The Effects of Video and Static Advertising.” Report No. RPN256. United Kingdom: Transport Research Laboratory.
Costa, M., Bonetti, L., Vignali, V., Bichicchi, A., Lantieri, C., & Simone, A. (2019). Driver’s visual attention to different categories of roadside advertising signs. Applied Ergonomics, 78, 127-136.
Divekar, G., Pradhan, AK, Pollatsek, A., & Fisher, DL. (2013). “External Distractions”: Evaluations of their effect on younger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s’ behavior and vehicle contro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321. Washington, D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Dukic, T., Ahlstrom, C., Patten, C., Kettwich, C., & Kircher, K. (2012). “Effects of Electronic Billboards on Driver Distraction.” Journal of Traffic Injury Prevention, 14, 469-476.
Edquist, J., Horberry, T., Hosking, S. & Johnston, I. (2011). “Advertising billboards impair change detection in road scenes.” Paper presented at the 2011 Australasian Road Safety Research, Education & Policing Conference.
Edquist, J., Horberry, T., Hosking, S. & Johnston, I. (2011). Effect of advertising billboards during simulated driving. Applied Ergonomics, 42(4), 619-626.
Gitelman, V., Doveh, E., & Zaidel, D. (2019). “An examination of billboard impacts on crashes on a suburban highway: Comparing three periods – Billboards present, removed, and restored.” Traffic Injury Prevention, 20, 569-574.
Hawkins, HG, Jr., Kuo, PF, & Lord, D. (2014).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raffic Safety Impacts of On-Premise Digital Signs.” Paper No: 14-2772. Presented at the 93rd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errstedt, L., Greibe, P. & Andersson, P. (2013). “Roadside Advertising Affects Driver Attention and Road Safety.”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river Distraction and Inattention, Gothenburg, Sweden.
Herrstedt, L., Greibe, P., Andersson, P. & Lund, BL (2017). “Do LED-Advertising Signs Affect Driver Attention?”,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river Distraction and Inattention. Paris, France.
Horberry, T., Regan, MA, & Edquist, J. (2009). Driver Distraction from Roadside Advertising: The clash of road safety evidence, highway authority guidelines, and commercial advertising pressure. Downloaded from the web at: https://document.chalmers.se/download?docid=653291678
Milloy, SL and Caird, JK. (2011). “External Driver Distractions: The Effects of Video Billboards and Wind Farms on Driver Performance.” Published in: Handbook of Driving Simulation for Engineering, Medicine and Psychology. Edited by: D.L. Fisher, M. Rizzo, J.K. Caird, & J.D. Lee. Boca Raton: CRC Press.
Mollu, K. (2018). “Influence of an Illuminated Digital Billboard on Driving Behavior with a Focus on Variable Display Time and Distance from a Pedestrian Crossing (Simulator Study).”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TRB Digital Billboards Subcommittee Meeting.
Oviedo-Trespalacios, O., Truelove, V., Watson, B., & Hinton JA. (2019). “The Impact of Road Advertising Signs on Driver Behaviour and Implications for Road Safety: A Critical Systematic Review.”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122, April 2019, 85-98.
Perez, WA., Bertola, MA, Kennedy, JF, & Molino, JA. (2012). “Driver Visual Behavior in the Presence of Commercial Electronic Variable Message Signs (CEVMS).” Unnumbered Report,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Downloaded from the web at: http://www.fhwa.dot.gov/real_estate/oac/visual_behavior_report/final/cevmsfinal.pdf
Rempel, G, Montufar, J., Forbes, G. & Dewar, R. (2015). “Digital and Projected Advertising Displays: Regulatory and Road Safety Assessment Guidelines.” Unnumbered Transportation Association of Canada Report.
Roberts, P., Boddington, K., & Rodwell, L. (2013). Impact of Roadside Advertising on Road Safety. Austroads Road Research Report: Publication No. AP-R420-13. City: Australia, ARRB Group.
Samsa, C., & Phillips, T. (2015). Digital Billboards ‘Down Under’. Are they Distracting to Drivers and can Industry and Regulators Work Together for a Successful Road Safety Outcome? Paper Presented at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river Distraction and Inattention, Sydney, Australia.
Schieber, F., Limrick, K. McCall, R, & Beck, A. (2014). Evaluation of the Visual Demands of Digital Billboards Using a Hybrid Driving Simulator.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58th Annual Meeting, 2214-2218.
Sisiopiku, VP, Islam, M, Haleem, K, Alluri, P. & Gan, A. (2014). Investigation of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Crash Occurrence and the Presence of Digital Advertising Billboards in Alabama and Florida. Proceedings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RB) 94th Annual Meeting.
Wilson, RT, & Casper, J. (2016). The Role of Location and Visual Saliency in Capturing Attention to Outdoor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September 2016, 259- 273.
Young, MS, Mahfoud, JM, Stanton, N. Salmon, PM, Jenkins, DP & Walker, GH. (2009). “Conflicts of Interest: The implications of roadside advertising for driver atten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Traffic Psychology and Behaviour, Vol. 12(5), 381-388.
Young, KL., Stephens, AN., Logan, DB, & Lenne, MG. (2015). An on-road study of the effect of roadside advertising on driving performance and situation awareness. Paper Presented at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river Distraction and Inattention, Sydney, Austr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