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해외통신원


해외동향

[캐나다]교통 허브의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탈바꿈 중인 여행자 경험- 모멘트 팩토리 사례

조회수 : 729 출처 : Sign Media 저자 : 조현도 해외통신원

 I. 개요

 

캐나다 몬트리올에 본사를 둔 멀티미디어 스튜디오인 모멘트 팩토리(Moment Factory)사는 공항, 지하철 등 여행 거점 공간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한 미디어를 통해 다채로운 몰입형 경험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다.

 

모멘트 팩토리는 10년 전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X)의 톰 브래들리(Tom Bradley) 국제선 터미널에서 북미 최대 규모의 공항 멀티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구축했다.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전략가들과 협업하여 제작한 몰입형 디지털 미디어 시리즈는 LAX를 할리우드의 화려함과 함께 여행지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로 각인시키며, 전 세계 공항과 철도역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잠재적 활용 가치를 새롭게 제시했다.

 

지난 10년 동안 모멘트 팩토리는 여행객이 밀집하는 주요 항공 및 철도역들을 그 자체로 목적지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교통 허브를 목적지로 향하는 전략적 관문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색다른 여행 경험을 강화하는 동시에 승객 여정의 중심으로 자리매김시킴으로써 방문객 증가와 수익 증대를 도모해 왔다.

 

이하에서는 201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모멘트 팩토리의 여행객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미디어 활용 사례들에 관해 순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II. 주요 디지털 미디어 적용 사례

 

1.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LAX) 톰 브래들리 국제선 터미널(2013)

 

톰 브래들리 국제선 터미널의 개장과 함께 모멘트 팩토리 팀은 공항 청사 내 최신 고해상도 이미징, 3D 효과, 인터랙티브 캡슐, 실시간 정보 제공 몰입형 비디오 콘텐츠를 제작하여 승객의 여정에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다. 공항은 바야흐로 단순히 여행객의 통과를 목적으로 한 지루한 공간 개념을 벗어나게 된 것이다.

 

[그림] LAX의 톰 브래들리 국제선 터미널 설치 디지털 미디어

  external_image


2. 싱가포르 창이 공항(2017)

 

싱가포르의 창이 공항은 여행객이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는 동안 몰입형 미디어 벽을 그림 같은 풍경과 애니메이션 부조 조형물로 생동감 있게 구현하고 있다. 면세품 매장에서는 대형 LED 스크린을 현실로 착각하게 하는 이른바 트롱프뢰유(trompe-l'oeil)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실제 매장과 가상 매장을 매끄럽게 결합하여 싱가포르의 전통적인 상점가 건축 양식을 재현한다. 공항 내 설치물들은 공항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여행객의 필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싱가포르 문화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설계하였다.

 

3. 싱가포르 에어로트로폴리스(2019)

 

모멘트 팩토리는 창이 공항 그룹과의 업무 파트너십을 이어가던 가운데, 2019년에는 도시와 공항이 합쳐지는 에어로트로폴리스(aerotropolis) 구축의 일환으로 모멘트 팩토리는 종합엔터테인먼트 및 쇼핑 공간인 주얼(Jewel) 내의 체험 스튜디오에 인터랙티브 멀티플레이어 게임과 공항의 진화 과정을 가상으로 둘러볼 수 있는 몰입형 극장을 구현했다. 하루 평균 30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하는 주얼은 공항이 이착륙 그 이상의 장소로 탈바꿈한 모범적 사례로 손꼽힌다.

 

[그림] 싱가포르 창이 공항 주얼 내 몰입형 극장

  external_image


4. 모이니한 철도역(2020)

 

모멘트 팩토리는 모이니한(Moynihan) 철도역을 세계적인 환승 허브이자 방문객과 지역 주민들이 모이는 중심 장소로 재창조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략을 개발했다. 주요 여행지, 랜드마크 건축물, 활기찬 도시 분위기 등 기타 뉴욕주의 아름다움 등을 기념하는 7개의 애니메이션이 4개의 대형 LED 스크린에서 재생된다.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은 방문객 경험을 강화시킬뿐만 아니라 아트리움이 내려다보이는 레스토랑, 소매점 등의 입주 기업의 매출 증대에도 긍정적 환경을 조성한다.

 

[그림] 모이니한 철도역 LED 기반 디지털 환경

  external_image

  

5. 도코 신주쿠역 역사 통로 디지털미디어화(2021)

 

도쿄 신주쿠역은 매일 약 370만 명의 방문객이 이용하는 세계에서 가장 번화한 교통 중심지이다. 100미터 길이의 역사 동서 통로는 지하철, 도심 및 통근 열차 여행객들이 거쳐가는 중요한 길목이었으나, 매우 혼잡하고 시민들의 불편만 야기시키는 공간으로 각인되었다. 모멘트 팩토리는 역사 통로의 동선을 개선하고 조화로운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발광 그라데이션, 테마별 무드, 벽면의 디지털 콘텐츠 등으로 통로를 감싸는 컬러 배스(The Colour Bath)를 조성했다. 신주쿠의 다양한 문화를 반영한 일본 최대 규모 이 멀티미디어 환경은 빛, 비디오, 사운드를 사용하여 통근자들에게 차분하고 다채로운 장면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철도 회사인 JR 동일본의 수익 사업의 일환으로 컬러 배스는 통합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환경 내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 공간도 마련하고 있다.

 

[그림] 신주쿠역 컬러배스 디지털 미디어

  external_image


6. 홍콩 국제공항 초대형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몰입형 트윈 가든(2022)

 

7,200만 명의 승객이 이용하며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여행객을 맞는 홍콩 국제공항은 제1터미널을 새롭게 단장하며, 공항 출입구와 탑승구의 길목에 초대형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를 설치했다. 이 디스플레이에서는 현지 여행객이 공감할 수 있으며 방문객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현지 유명 아티스트의 오리지널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등 인터랙티브 기술을 통합하였다. 또한 미터스 앤 그리터스 홀(Meeters and Greeters Hall)에 설치된 몰입형 트윈 가든은 방문객이 직접 또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친구 및 가족과 함께 놀고 휴식을 취하며 여행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이채로운 환경을 제공한다.

 

[그림] 홍콩 국제공항 초대형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external_image


[그림] 홍콩 국제공항 몰입형 트윈 가든

  external_image

 

7. 하마드 국제공항 오차드 정원 LED 리본(2022)

 

모멘트 팩토리는 하마드 국제공항(Hamad International Airport)의 수용 인원을 7,500만 명 이상으로 늘리기 위한 목표 달성의 일환으로 중앙 홀의 실내 열대 정원인 오차드(The Orchard)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환경 구축 사업에 참여했다. 오아시스를 둘러싸고 있는 1km 길이의 LED 리본이 2개 층에 걸쳐 펼쳐지며 토종 식물 테마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증폭시키고 카타르의 다양한 문화유산을 24시간 순환 영상으로 송출한다. 장거리 비행 이후의 경유지나 휴식 시 방문객은 터미널 내에서 소매, 식음료 구역을 돌아다니며 체류 기간을 늘리도록 유도하며, 공항을 보다 유쾌한 여행 공간의 하나로 새롭게 자리매김시켰다.

 

[그림] 하마드 국제공항 오차드 정원 LED 리본

  external_image


8. 뉴저지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 접점별 상설 디지털 설치물

 

뉴저지 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디자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211월 뉴어크 리버티 국제공항(EWR)의 터미널 A가 새롭게 단장되었다. EWR은 여행객의 디지털 여정이 터미널의 아키텍처와 시스템에 완벽하게 통합될 수 있도록 고도로 기능적인 공간에서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모멘트 팩토리는 다양한 현지 전문가, 혁신가들로부터의 자문을 기반으로 주요 접점에 위치한 상설 대형 설치물을 통해 입구에서 탑승구까지 뉴저지주의 21개 카운티의 독특하면서도 다양한 역사와 개성이 담긴 콘텐츠를 송출하고 있다.

  

[그림] 뉴저지 EWR 디지털 설치물

  external_image


III. 나오며: 여행객 경험의 미래

 

세계적 여행 허브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승객 경험 혁신적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모멘트 팩토리의 도시 부문 총괄 매니저 겸 프로듀서인 미카엘 샤르핀(Mikael Charpin)'오늘날의 경험 경제에서 여행객은 높은 기대치를 가지고 집을 떠난다. 교통 허브는 더 이상 단순히 여행의 시작과 끝이 되는 곳이 아니다. 교통 허브는 여행 경험의 중요한 연장선으로 강하게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문화적 발견과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만족도를 높이고 브랜드 가치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담당부서 : 연구조사부 연락처 : 02 · 3274 · 2825 이메일 : chokh39@lofa.or.kr